
매출 목표가 1,500억 원인 야구단이 등장했다. 지난해 매출 1,300억 원을 돌파한 컴투스 야구게임단의 총사령관 홍지웅은 해외시장을 겨냥한 신무기 <MLB 9이닝스: 라이벌>도 실전 투입했다. 홍지웅은 수백만 구단주를 이끌고 있다. 꽃길만 걸었던 건 아니다. 처녀작 <컴프야2008>이 적자를 냈고 <컴프야2009>도 생각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세계 여성경영인 50'에 이름을 올린 박지영 당시 컴투스 대표는 "야구는 게임빌이 잘하는 것 같다"며 "다른 장르를 뚫는 게 낫겠다" 했다. 홍지웅은 "아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야구밖에 없다" 배수진을 쳤다. '구원투수'만 올리면 이길 수 있었다. 경영진을 설득하고 설득했다. "마지막이다." 홍지웅은 연봉을 내주고 시간을 벌었다. 그리고 9회말투아웃에서 끝내기홈런을 쳤다. <컴프야2010>과 존재감을 각인한 한방이었다. 홈런포는 계속됐다. 국내시장 평정 후 <MLB 9이닝스>를 들고 해외시장에 출사표도 던졌다. 명장이 가는 길에 수백만 구단주도 뒤를 따랐다.
"나만 야구 일을 하고 있는 게 좀 아쉽다."
야구장을 놀이터마냥 찾던 친구 중 야구 쪽 일을 하는 이는 없다. 그때만 해도 홍지웅은 게임이 뭔지 몰랐다. 중학교 때 콘솔게임방에 다니면서 게임을 접했다.
"용돈이 적어 게임기를 살 수 없었다. 플레이스테이션방이나 세턴방을 다니면서 게임에 눈떴다. 고등학교 2학년 때 <비디오게임정보>가 있었다. <루리웹>이 막 시작할 때였는데 이런저런 비디오게임 정보사이트도 좀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 플레이스테이션 플랫폼에서 일본게임 정보도 보고 게임리뷰를 썼는데 재밌었다."
이때쯤 게임기자를 꿈꾸기도 했다.
"<비디오게임정보>에 글을 투고하다 보니 재밌었다. 대학도 컴공과에 들어갔다. 한 회사에서 사이트 관리 담당자로 일해볼 생각이 없냐는 제안을 받았다. 그 회사가 컴투스다."
컴투스는 모바일게임을 만들기 전 DDR장판 제조 등 여러 사업을 했는데 그중 하나가 비디오게임정보사이트 였다. 사이트 관리를 하던 형하고 밥도 먹고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합류하게 됐다.
"그땐 게임을 부정적으로 보던 때라 걱정을 많이 했는데 부모님이 게임 한다고 싫어하진 않으셨다. 열심히 해보려고 했는데 루리웹이 커지면서 사이트 운영을 종료하게 됐다."

"처음 돈을 주고 산 게임은 3DO의 <D의 식탁(Dの食卓)>이란 호러어드벤처물이었다.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넘어와서는 <마계전기 디스가이아>와 <라피스>를 했다. 그때 했던 게임기가 집에 있다."
2002년 컴투스에 들어간 홍지웅의 입사번호는 50이다. 사이트 관리 업무가 6개월 만에 종료되면서 본격적으로 모바일게임 개발에 돌입했다.
"직군을 바꿔야 했다. 글만 쓰다가 게임개발 QA팀에서 일하게 됐다."
개발도 중요하지만 테스팅 업무도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했다.
"문서화하고 정리하는 걸 좋아했다. 프로세스 짜고 입사하는 사람에게 내가 정리한 가이드를 보여줄 때 보람을 느꼈다. 열심히 하다 보니 QA파트장에도 올랐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