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 목표가 1,500억 원인 야구단이 등장했다. 지난해 매출 1,300억 원을 돌파한 컴투스 야구게임단의 총사령관 홍지웅은 해외시장을 겨냥한 신무기 <MLB 9이닝스: 라이벌>도 실전 투입했다. 홍지웅은 수백만 구단주를 이끌고 있다. 꽃길만 걸었던 건 아니다. 처녀작 <컴프야2008>이 적자를 냈고 <컴프야2009>도 생각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세계 여성경영인 50'에 이름을 올린 박지영 당시 컴투스 대표는 "야구는 게임빌이 잘하는 것 같다"며 "다른 장르를 뚫는 게 낫겠다" 했다. 홍지웅은 "아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야구밖에 없다" 배수진을 쳤다. '구원투수'만 올리면 이길 수 있었다. 경영진을 설득하고 설득했다. "마지막이다." 홍지웅은 연봉을 내주고 시간을 벌었다. 그리고 9회말투아웃에서 끝내기홈런을 쳤다. <컴프야2010>과 존재감을 각인한 한방이었다. 홈런포는 계속됐다. 국내시장 평정 후 <MLB 9이닝스>를 들고 해외시장에 출사표도 던졌다. 명장이 가는 길에 수백만 구단주도 뒤를 따랐다.
전작에서 부족했던 것을 해결했다. 예컨대, 날아오는 공을 쳤을 때 배트 방향이나 각도, 타점, 공 회전까지 계산해 어느 방향으로 날아가는지 실제와 근접하게 만들었다.
"전작은 자동진행 로직이 있고 인게임플레이 로직이 따로 돌아갔는데 지금은 하나로 돌아간다. 굉장히 고도화됐다. 같은 장르에서는 개발자 입장에서 차별성을 부여해도 똑같은 게임처럼 보이기 쉽다."
신작을 내는 것이 두렵기도 했는데 스포츠게임의 가치는 조금 더 고도화된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이다.

"<컴프야V22>가 그렇다. 시작은 좋지 않았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기존 유저가 신작으로 넘어가지 않았다."
전작에서 사용하던 아이템이나 선수카드 같은 다양한 재화를 버리고 새로운 게임으로 가기가 쉽진 않았을 것이다. 야구게임은 유저층이 정해져 있다.
"90%가 남자다. 대부분 30~40대고 50대까지의 비중이 높다. 새로운 게임을 다시 배우는 데 관심이 없다. V버전을 준비하면서 그래픽으로는 모바일게임을 통틀어 최고 수준의 실사 그래픽을 담아냈다고 자부한다. KBO는 물론 선수협과도 계약해 368명 모든 선수를 헤드스캔했다. 전에는 디자이너들이 얼굴을 그렸었다. 선수의 실사 얼굴이 게임에 들어가면서 디테일한 차이를 만들어냈다."
전작과 가장 다른 부분은 세로 베이스라는 점이다. 의도적인 차이점을 만들려고도 했었지만 동영상도 아니고 게임을 한 손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게 완벽한 차별점이 될 거라 확신했다. 컴투스의 아이덴티티인 '원버튼플레이'의 귀환이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