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 목표가 1,500억 원인 야구단이 등장했다. 지난해 매출 1,300억 원을 돌파한 컴투스 야구게임단의 총사령관 홍지웅은 해외시장을 겨냥한 신무기 <MLB 9이닝스: 라이벌>도 실전 투입했다. 홍지웅은 수백만 구단주를 이끌고 있다. 꽃길만 걸었던 건 아니다. 처녀작 <컴프야2008>이 적자를 냈고 <컴프야2009>도 생각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세계 여성경영인 50'에 이름을 올린 박지영 당시 컴투스 대표는 "야구는 게임빌이 잘하는 것 같다"며 "다른 장르를 뚫는 게 낫겠다" 했다. 홍지웅은 "아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야구밖에 없다" 배수진을 쳤다. '구원투수'만 올리면 이길 수 있었다. 경영진을 설득하고 설득했다. "마지막이다." 홍지웅은 연봉을 내주고 시간을 벌었다. 그리고 9회말투아웃에서 끝내기홈런을 쳤다. <컴프야2010>과 존재감을 각인한 한방이었다. 홈런포는 계속됐다. 국내시장 평정 후 <MLB 9이닝스>를 들고 해외시장에 출사표도 던졌다. 명장이 가는 길에 수백만 구단주도 뒤를 따랐다.
"라이선스를 받은 첫 게임이 <컴프야2011>을 베이스로 만든 <9이닝스2011>이다. 6명이 개발했고 글로벌 누적매출만 39억, 다운로드는 750만을 넘겼다. <컴프야2010>보다 10배나 높은 수치다. 'MLB게임도 되는구나' 생각한 게 이때다. 시장규모가 달랐다. 해외시장 진출은 당연한 일이 되버렸다."
이즈음 KBO와 MLB하고 스튜디오를 분리하고 각각의 개발사이클을 맞췄다. 게임엔진은 KBO로 먼저 론칭하고 그걸 기반으로 MLB를 개발했다.
두 게임을 합쳐 매출은 50억을 넘겼고 다운로드도 800만을 달성했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팀원들이 1,000만 다운로드 한 번 찍어보자고 뜻을 모았다. 목표매출도 100억으로 올렸다.

'세계를 무대로'
KBO 넘고 MLB 간다
"박 대표는 우리 야구게임을 처음엔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경쟁사 <게임빌프로야구>가 더 아기자기하고 캐릭터도 귀엽다며 추켜세웠다. 유저가 많은 이유도 단박에 분석했는데 <게임빌프로야구>엔 '나만의 선수'라는 육성 콘텐츠가 있었다." <컴프야>엔 없던 개념이었다.
"야구게임 두 번 했으니 더 하면 매너리즘에 빠져. RPG 같은 거 만들어 봐" 해도 버텼다. "'제일 잘하는 걸 해야 한다. 다른 거 만들다가 아예 망할 수도 있다. 야구 아니면 안 된다. 한 번 더 기회를 달라'고 했다. 회사에서도 자체 IP를 키워간다는 차원에서 밀어줬다. 아직까지도 박 대표에게 감사하다."
좋아하는 운동도 당연히 야구일까. "특별히 챙겨 하는 운동은 없는데 전엔 사회인야구단에서 공을 던졌다. 공을 잘 던져 투수를 한 건 아니고 천식이 있어서 뛰는 게 어렵다 보니 자연스레 투수를 했다. 5년 정도 던졌는데 체력도 달리고 힘들었다. 최근엔 골프를 배우고 있다."
TV 얘기가 나왔다. "<최강야구>는 왕년의 야구스타를 소환해 다시 전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승엽 감독일 땐 예능이더니 김성근 감독이 오자 다큐가 됐다. 올초 새 시즌에 들어가며 WBC에서 벌어진 나쁜 분위기를 그나마 풀어준 게 <최강야구>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