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 목표가 1,500억 원인 야구단이 등장했다. 지난해 매출 1,300억 원을 돌파한 컴투스 야구게임단의 총사령관 홍지웅은 해외시장을 겨냥한 신무기 <MLB 9이닝스: 라이벌>도 실전 투입했다. 홍지웅은 수백만 구단주를 이끌고 있다. 꽃길만 걸었던 건 아니다. 처녀작 <컴프야2008>이 적자를 냈고 <컴프야2009>도 생각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세계 여성경영인 50'에 이름을 올린 박지영 당시 컴투스 대표는 "야구는 게임빌이 잘하는 것 같다"며 "다른 장르를 뚫는 게 낫겠다" 했다. 홍지웅은 "아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야구밖에 없다" 배수진을 쳤다. '구원투수'만 올리면 이길 수 있었다. 경영진을 설득하고 설득했다. "마지막이다." 홍지웅은 연봉을 내주고 시간을 벌었다. 그리고 9회말투아웃에서 끝내기홈런을 쳤다. <컴프야2010>과 존재감을 각인한 한방이었다. 홈런포는 계속됐다. 국내시장 평정 후 <MLB 9이닝스>를 들고 해외시장에 출사표도 던졌다. 명장이 가는 길에 수백만 구단주도 뒤를 따랐다.
"여러 프로젝트를 하는 게 유리한 때였다. <붕어빵타이쿤>, <테트리스>, <미니게임천국> 등 다양한 게임이 나왔다. <컴프야>는 비주류긴 했지만 2009버전이 나름 성공했다. 누적매출 14억에 45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흑자전환 했다."
이유가 있었다.
"<컴프야2008>에선 경기마다 9회가 끝나야 보상을 얻을 수 있었는데 <컴프야2009>부터는 도전과제 시스템을 적용한 것이 주효했다. 안타를 치면 도전과제 성공보상을 주고 홈런을 치면 보상과 선수카드를 줬다."

이런 식으로 보상시스템을 세분화한 것이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카드시스템도 <컴프야2009>부터 도입했다. 선수 개개인의 카드를 모으는 대신 선수카드를 조합하는 시스템으로 갔다.
<테스리스>나 <미니게임천국> 같은 게임이 워낙 크게 성공하기도 했고 귀여운 2등신 캐릭터로 승부하던 <게임빌프로야구>가 대세였다.(2011년 <게임빌프로야구>를 이겼다)
"대박은 아니었지만 <컴프야2009>는 성공작이었다. 성공을 맛보니 자신감도 커지고 게임팬도 생기면서 신바람이 났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