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목표가 1,500억 원인 야구단이 등장했다. 지난해 매출 1,300억 원을 돌파한 컴투스 야구게임단의 총사령관 홍지웅은 해외시장을 겨냥한 신무기 <MLB 9이닝스: 라이벌>도 실전 투입했다. 홍지웅은 수백만 구단주를 이끌고 있다. 꽃길만 걸었던 건 아니다. 처녀작 <컴프야2008>이 적자를 냈고 <컴프야2009>도 생각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세계 여성경영인 50'에 이름을 올린 박지영 당시 컴투스 대표는 "야구는 게임빌이 잘하는 것 같다"며 "다른 장르를 뚫는 게 낫겠다" 했다. 홍지웅은 "아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야구밖에 없다" 배수진을 쳤다. '구원투수'만 올리면 이길 수 있었다. 경영진을 설득하고 설득했다. "마지막이다." 홍지웅은 연봉을 내주고 시간을 벌었다. 그리고 9회말투아웃에서 끝내기홈런을 쳤다. <컴프야2010>과 존재감을 각인한 한방이었다. 홈런포는 계속됐다. 국내시장 평정 후 <MLB 9이닝스>를 들고 해외시장에 출사표도 던졌다. 명장이 가는 길에 수백만 구단주도 뒤를 따랐다.

시작은 했지만 하나하나 세팅하고 만들어야 해 2년이 걸렸다.

디렉터도 없이 달랑 셋이 만든 <컴투스프로야구2008>은 적자 프로젝트로 끝났다. 시행착오도 많았고 SKT, KT, LG 이통사별로 납품 프로세스도 다르고 버추얼머신도 달랐다. 빌드까지 다 달라 같은 게임이지만 세 가지를 만드는 셈이었다. 

"'신선하다'는  평가가 가장 좋은 말이었다. 첫 해 매출이 4억 원이었는데 개발비를 따져보니 적자였다. 누적다운로드는 17만 건 정도 됐다. 게임 용량이 730킬로바이트(KB) 정도 됐다. 킬로바이트 단위로 용량을 줄이는 데 공을 들였다. 사람들은 1메가바이트(MB)가 넘으면 다운로드를 잘 하지 않는다."

성적이 좋지 않자 연쇄반응이 일어났다.

"개발이사와 연봉계약을 하는데 겁이 났다. 연봉은 동결됐고 야구게임도 그만 만들란 말을 들었다. 포기할 순 없었다. 경영진을 설득하고 설득했다.

"이번이 마지막이야!" 겨우 목숨줄을 붙였고 곧바로 <컴프야2009>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개발자도 하나 충원했다.

직원이 30~40명이었는데 게임 하나를 3~4명이서 개발하다 보니 10개 내외 프로젝트가 동시에 돌아가는 상황이었다. <계속>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