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 목표가 1,500억 원인 야구단이 등장했다. 지난해 매출 1,300억 원을 돌파한 컴투스 야구게임단의 총사령관 홍지웅은 해외시장을 겨냥한 신무기 <MLB 9이닝스: 라이벌>도 실전 투입했다. 홍지웅은 수백만 구단주를 이끌고 있다. 꽃길만 걸었던 건 아니다. 처녀작 <컴프야2008>이 적자를 냈고 <컴프야2009>도 생각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세계 여성경영인 50'에 이름을 올린 박지영 당시 컴투스 대표는 "야구는 게임빌이 잘하는 것 같다"며 "다른 장르를 뚫는 게 낫겠다" 했다. 홍지웅은 "아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야구밖에 없다" 배수진을 쳤다. '구원투수'만 올리면 이길 수 있었다. 경영진을 설득하고 설득했다. "마지막이다." 홍지웅은 연봉을 내주고 시간을 벌었다. 그리고 9회말투아웃에서 끝내기홈런을 쳤다. <컴프야2010>과 존재감을 각인한 한방이었다. 홈런포는 계속됐다. 국내시장 평정 후 <MLB 9이닝스>를 들고 해외시장에 출사표도 던졌다. 명장이 가는 길에 수백만 구단주도 뒤를 따랐다.
지난해 나온 <컴프야V23>은 상반기 '이달의 우수게임'에 선정됐다. <9이닝스>는 올해 상반기 MLB 야구게임 중 가장 많은 다운로드, 절반이 넘는 액티브유저 점유율,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게임이다. 최근 선보인 <MLB 9이닝스 라이벌>과 투트랙으로 시리즈 IP의 강력함을 보여줄 계획이다.
"수많은 야구게임을 출시하면서 힘든 점도 있지만 얻는 것이 더 많다. 게임을 만드는 과정 하나하나가 좋았다. 사랑하는 야구를 기획하고 개발해 팬들에게 선보이는 게 큰 즐거움이다."
스마트폰이 가져온
시장과 게임의 변화
2012년 <컴프야2012>를 피쳐폰에 먼저 출시했지만 스마트폰 보급률이 1년 만에 50%를 돌파하면서 시장이 변했다.
"그때 더 빨리 스마트폰게임을 준비했다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2002년 컴투스에 들어와 동료들과 축구대표팀 거리응원을 하며 돌아다닌 기억이 생생하다. 대구에서 갓 상경한 꼬꼬마에겐 신세계였다.
"2008년엔 출시 준비로 바빠 3박4일 사무실에서 쪽잠을 자던 기억도 난다. 야구게임 만들면서 좋은 기회도 많았다. 2018년 워싱턴 올스타전과 2019년 도쿄돔에서 이치로 은퇴전을 본 것도 기억난다. 미국법인 대표와 워싱턴 내셔널파크필드에서 캐치볼 한 것은 죽을 때까지 잊지 못할 것 같다."

좌우명은 '둥글게'다. 인간관계든 업무든 모나지 않게 접근하는 것을 선호한다.
"야구게임을 오래 만들다 보니 선수나 팀과 접점도 늘었다. 박찬호가 롤모델이다. 한국야구 역사상 가장 뛰어난 투수고, 꾸준함과 성실함으로 MLB에서 큰 축으로 자리잡았다. 가치관, 팀워크, 리더십 등 본받을 점이 많다. 2017년 LA다저스스타디움 클럽하우스에 갔을 땐 감개무량했다. <컴프야>와 <MLB 9이닝스> 시리즈 IP 이후 새로운 IP를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다."
야구게임 하면 콘솔에선 <THE SHOW> 시리즈와 <프로야구 스피리츠>를 떠올리는데 스마트폰 야구게임은 컴투스가 가장 먼저 떠오를 때까지 매진할 계획이다.
"수백 동료가 개발에 참여하고 있고, 수십만 유저가 게임을 즐기고 있다. 어깨가 무겁지만 우리 게임을 인정해 줘 감사하다."
<9이닝스 라이벌>은 즐거운 메이저리그 게임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으로 내놨다. 플레이해 보면 '야구게임이 이만큼 발전했구나' 하고 놀랄 것이라 확신했다.
"꼭 해보길 권한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