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순영 위원장은 희생과 헌신을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며 살아왔다. 보여주기식 쇼나 말뿐인 가식적인 희생과 헌신이 아니라 행동으로 실천하는 진정성 있는 봉사로 주민들에게 다가가고 싶다. 권 위원장에게 정치란 첫 믿음, 끝까지—다. 

고양시 서울 편입 '찬성' 92%, 교통인프라↑, 재건축 빨라진다

서울 편입을 통해 '메가시티'로 확대하자는 것이 107만5,898명이 사는 인구 3위 지자체이자 특례시인 고양의 목소리다. 국민의힘 고양시(병) 당협위원회가 내년 총선 변수로 떠오른 고양시의 서울 편입과 관련 고양시민을 상대로 11월 초 설문한 결과 압도적 찬성의견이 나왔다. 구글 설문지 방식으로 2,823명이 조사에 참여해 서울시 편입 '찬성' 92.3%, '반대' 6.5%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거주지는 덕양구 43.8%, 일산동구 30.8%, 일산서구 22.2%였다.

고양시의 서울 편입에 대해 주민들의 지지가 압도적으로 나온 만큼 당정협의 등을 통해 최선의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덕양구에서 가장 많은 찬성이 나왔는데 서울과 맞닿아 있고 서울시 기피시설이 많이 있어 불만이 큰 상태에서 지역균형개발에서도 소외된 점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1월 21일 일산동구청에서 '메가시티서울설명회'가 열렸다.

조경태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장은 "메가시티 서울이 되면 교통인프라는 물론, 고양시 재건축도 빨리질 것"이라며 "서울 편입을 원한다면 주민들이 더 강력하고 당당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일각에서 총선용이라는 지적도 있는데 이게 바로 야당의 수법"이라며 "초광역 메가시티는 지난 대선 때 여야 후보 모두 공약으로 내걸었는데 공약을 지키지 않는 게 사기고, 쇼"라고 지적했다. 조 위원장은 "총선이 끝나도 우리 당이 책임지고 추진하겠다"며 "서울 편입을 대비해 각종 규제 같은 걸림돌 역시 협상이 가능해진다. 최근 김포도 그런 식으로 풀면서 찬성이 68%로 크게 올랐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2023년 11월 16일 김포·서울을 통합하는 법안(뉴시티법)을 발의했다. 여기에는 2025년 1월부터 '경기도 김포시'의 행정 편제를 '서울특별시 김포구'로 변경하는 내용이 담겼다. 현행 김포시에서 누리는 권한과 혜택이 서울시 편입 시 사라질 수 있다는 주민들의 우려를 반영해 농어촌특별전형제도를 비롯해 김포시 읍·면에 적용되는 혜택은 2030년까지 유지하는 조항이 법안에 반영됐다. 조 위원장은 지방 소멸을 막고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부산과 광주를 메가시티로 만드는 구상도 밝혔다. "500만 이상의 도시를 만들어야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희망을 가질 수 있는 만큼 인구 유출이 가장 심한 부산과 광주도 메가시티에 포함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설명회를 주최한 김종혁 국민의힘 고양(병) 당협위원장은 "수조 원을 들여 세종신도시와 나주혁신도시 등을 조성했지만 인구가 줄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금 국토균형발전은 거짓말로 판명됐다"며 "메가시티 프로젝트는 근본적인 문제를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힘을 실었다.

조 위원장은 "김포시장도, 구리시장도 기자회견을 열고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는데 고양시는 아직 멀었다"며 "국회에서 속도를 내려면 특별법에 해당 도시들이 담겨야 하는데 여러분이 한 마음이 돼야 서울 편입이 가능해진다"고 독려했다.

김포, 구리에 이어 고양까지 서울메가시티 구상에 포함하는 편입 방안이 구체화됐다. 서울시는 김포, 구리 외에 특례시인 고양까지 아우르는 광역권으로 논의 폭을 확대하면서 흐름을 주도하고, 대형도시이면서도 서울생활권 아래 베드타운의 한계를 고민해 왔던 고양시는 교통·행정편의 등 실리를 챙겨야 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고양은 서울에 접한 도시 중 통근·통학하는 시민이 가장 많고 서울시 6개 자치구가 맞닿아 있으며 서울과 사회기반시설을 공유한다"고 말했다. "고양은 인구 100만 명 이상의 특례시로 권한 등에서 다른 도시와 차별점이 존재한다"며 "두 지자체가 공동연구반을 꾸려 통합에 따른 효과와 영향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 시민의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자체별 공동연구반을 확대해 김포, 구리, 고양 등 관련 지자체와 서울시가 함께 '서울시편입통합연구반'(가칭)을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개별 연구반에서 발굴한 쟁점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각 지역 주민을 포함해 국민적 공감대를 넓혀야 한다는 얘기다.

오 시장은 "메가시티 논의가 추진되면 광역도시 문제를 해결해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서울과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나아가 "진정한 지역균형발전을 위한다면 메가시티 논의를 수도권뿐 아니라 부·울·경, 광주·전남, 대구·경북, 대전·충청·세종 등으로도 확장해야 한다. 서울시는 긴 호흡으로 필요한 연구와 분석을 지속해 나갈 것이며 정부와 국회에서도 진지한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계속>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