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전쟁 직후 가난과 질병, 중노동을 달래기 위해 애틀란타의 약사 존 펨버튼은 코카잎 성분과 콜라나무 껍질액을 배합해 강장음료를 만들고 2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코카콜라와 워런 버핏은 알아도 펨버튼을 아는 사람은 없다.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일론 머스크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동안 또 어떤 펨버튼은 아이폰, 윈도,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피·땀·눈물'을 흘렸다. 기술만 남고 기술자는 잊혀졌다. 어쩌면 알려고 하지도 않았다. 사농공상 시대에도 세종의 장영실은 '조선의 시간'을 만들고, 이순신의 나대용은 '조선의 바다'를 지켰다. 사람을 뛰어넘는 기술은 없다. 국가든 기업이든 지속가능하길 바란다면 장인들의 '한 땀'마다 합당한 명성을 부여해야 마땅하다. <글로벌e>가 숨은 명장 찾기에 나선 이유다.

[글로벌E 이장혁 기자] 정수기물을 병입(bottling)해 판매하는 것도 가능할까.
"정수기회사에서 먹는샘물을 사먹고 있다는 게 이상하더라고요. 정수한 물을 병에 담아 내부에서 마시고 있어요. 위생관리나 수질검사를 철저히 하고 직원들에게 공급해요. 가끔 이벤트로 소비자들에게 정수기물을 담아 마실 수 있도록 패키징도 보내줬어요."
아직 내부 소진용이나 이벤트용으로 병에 담아 마시는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정수기물도 파는 시대가 곧 올지 모른다. 유통과정에서 보관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먹는샘물 대신 바로 담아 마실 수 있는 정수기물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난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정수기회사에선 더 그렇다.
"식당에 가면 물을 주잖아요. 나오는 물을 감별하는 것까진 아니지만 제가 원하는 깔끔한 맛이 있는데 소독약냄새나 비린내가 심하고 텁텁한 물이 나오면 마시지 않아요. 사장님한테 정수기 관리를 받거나 필터를 바꿔야 할 것 같다고 귀띔해 드립니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