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전쟁 직후 가난과 질병, 중노동을 달래기 위해 애틀란타의 약사 존 펨버튼은 코카잎 성분과 콜라나무 껍질액을 배합해 강장음료를 만들고 2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코카콜라와 워런 버핏은 알아도 펨버튼을 아는 사람은 없다.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일론 머스크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동안 또 어떤 펨버튼은 아이폰, 윈도,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피·땀·눈물'을 흘렸다. 기술만 남고 기술자는 잊혀졌다. 어쩌면 알려고 하지도 않았다. 사농공상 시대에도 세종의 장영실은 '조선의 시간'을 만들고, 이순신의 나대용은 '조선의 바다'를 지켰다. 사람을 뛰어넘는 기술은 없다. 국가든 기업이든 지속가능하길 바란다면 장인들의 '한 땀'마다 합당한 명성을 부여해야 마땅하다. <글로벌e>가 숨은 명장 찾기에 나선 이유다.

[글로벌E 이장혁 기자] 현장에선 별 일이 다 생겼다. 당시엔 물맛이 중요하다는 인식조차 없었다. 코웨이가 인프라를 만들고 연구에 속도를 내자 경쟁사들도 따라오게 됐다.
협회에서 주관하는 물맛품평회에 참여도 하고 관심도 높아졌다.
"물맛 기준도 세우면서 노력을 많이 했는데 아직도 민원이 많이 들어와요. 가장 난처한 상황은 정수기를 설치하면 안 되는 곳에 설치해 달라는 것이에요. 인쇄소 기계가 돌아가는 현장이나 화장실 앞에선 냄새와 먼지가 물맛에 베는 경우가 많거든요. 문제가 뻔히 보이는데 물맛이 이상하다고 하는 거죠. 타사 정수기를 쓰다 바꿨을 때도 문제가 생겨요. 필터 타입에 민감한 고객들은 물맛이 다르다고 하거든요. 설명을 해드려도 이해를 못 해 해결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터가 달라지다 보니 미네랄을 거르는 양이 달라 물맛 차이를 느끼는 고객이 많다.
좋고 나쁨의 문제보다 기호의 문제가 해결이 더 어렵다.
먹던 맛이 아니라서 불편하게 느끼는 것이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