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전쟁 직후 가난과 질병, 중노동을 달래기 위해 애틀란타의 약사 존 펨버튼은 코카잎 성분과 콜라나무 껍질액을 배합해 강장음료를 만들고 2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코카콜라와 워런 버핏은 알아도 펨버튼을 아는 사람은 없다.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일론 머스크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동안 또 어떤 펨버튼은 아이폰, 윈도,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피·땀·눈물'을 흘렸다. 기술만 남고 기술자는 잊혀졌다. 어쩌면 알려고 하지도 않았다. 사농공상 시대에도 세종의 장영실은 '조선의 시간'을 만들고, 이순신의 나대용은 '조선의 바다'를 지켰다. 사람을 뛰어넘는 기술은 없다. 국가든 기업이든 지속가능하길 바란다면 장인들의 '한 땀'마다 합당한 명성을 부여해야 마땅하다. <글로벌e>가 숨은 명장 찾기에 나선 이유다.

[글로벌E 이장혁 기자] "정수기물이 먹는샘물보다 미네랄 함량이 낮다는 이슈가 있었어요. 미네랄을 적게 먹는다고 영양학적으로 문제가 되는지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전문가들과 연구도 하고 쥐를 이용해 실험도 했어요. 정수기물은 안전이 우선이라 필터에서 미네랄이 더 걸러지긴 해요. 그 정도 미네랄은 김치 한 조각만 먹어도 채울 수 있는데 미네랄 때문에 유해물질을 마실 수는 없잖아요."
미국의 먹는샘물 업체들도 수원지 물을 그대로 쓰지 않고 RO필터로 한 번 더 거른 후 병에 넣어 판매한다.
미네랄이 많다고 무조건 좋은 물은 아니다. 종류도 많고 조성이나 비율에 따라 물맛도 달라진다.

소비자 테스트를 해보면 미네랄 함량이 낮은 물에 손을 드는 경우가 많다. 가볍고 더 깨끗한 맛이 나서다. 함량이 높은 물은 무게감이 있고 맛이 좀 텁텁하고 비린내가 나기도 난다.
"소비자 선택도 중요해요. 사는 곳이 지하수를 사용하는데 주변에 공장이나 농장이 많으면 필터 기능이 강화된 정수기를 설치하는 것이 좋죠. 직수형이냐 아니냐 하는 이슈도 있었어요. 살균수를 사용하거나 매번 시간을 정해 모아놓았던 물을 배출하고 새로운 물을 모으는 방식으로 직수형이 아니더라도 안전이나 위생은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