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전쟁 직후 가난과 질병, 중노동을 달래기 위해 애틀란타의 약사 존 펨버튼은 코카잎 성분과 콜라나무 껍질액을 배합해 강장음료를 만들고 2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코카콜라와 워런 버핏은 알아도 펨버튼을 아는 사람은 없다.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일론 머스크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동안 또 어떤 펨버튼은 아이폰, 윈도,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피·땀·눈물'을 흘렸다. 기술만 남고 기술자는 잊혀졌다. 어쩌면 알려고 하지도 않았다. 사농공상 시대에도 세종의 장영실은 '조선의 시간'을 만들고, 이순신의 나대용은 '조선의 바다'를 지켰다. 사람을 뛰어넘는 기술은 없다. 국가든 기업이든 지속가능하길 바란다면 장인들의 '한 땀'마다 합당한 명성을 부여해야 마땅하다. <글로벌e>가 숨은 명장 찾기에 나선 이유다.

한국 전자담배시장은 뜨겁다. 디자인 트렌드는 어떻게 변해갈까.
"전자담배는 성장기로 넘어가는 중이다. 도입기에는 기능에 초점을 맞췄다면 성장기에는 고객이 편하고 높은 만족감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포인트다. 제품도 심플하면서도 편안한 경험을 제공하는 형태로 트렌드와 디자인이 변하고 있다. 소비자의 사용경험이 중요해진 것이다. 다른 변화는 스마트함이다. 고객의 행동과 패턴에 맞춘 기능이 추가될 것이다."
고객을 먼저 이해하고 이에 맞게 기능을 탑재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얘기다.
"전자담배도 한국은 테스트베드다. 한국에서 성공하면 글로벌에서 성공하는 것이 공식이다. 한국 소비자는 까다롭다. 한국인을 이해하고 만족시키면 글로벌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글로벌시장 성공
'한국'에 달렸다
한국시장에서 '글로 하이퍼 X2'는 블랙 컬러가 가장 인기다.
"BAT의 아이덴티티를 잡아야 했다. '조합'과 '조화'를 '대조'로 풀기 위해 '매트+메탈' 투톤 디자인을 적용했다.
많은 고민 끝에 나왔다. 대조를 잘 하면 조화가 부각된다. 투톤 매치는 강렬하고도 부드럽고 심지어 유연하기까지 하다. 컬러 조합뿐 아니라 촉감이 다른 소재의 조합도 고민했다.
"블랙 계열 수요가 절반 이상이다. 블랙은 꼭 가져가는 컬러다."
블랙·레드 vs 민트·블루
투 톤 매치는 '팔색조'
블랙 안에서도 차별화가 가능할까.
"블랙과 레드 조합은 강렬하다. 럭셔리한 브랜드에 블랙과 레드로 풀어낸 제품이 많다. '페라리레드'가 대표적이다."
레드는 구현이 까다로웠지만 블랙·레드를 놓칠 순 없었다. 명장을 비롯한 디자인팀은 민트·블루에 애착이 많았다. 특별한 블루, 남들과 다른 블루, 글로만의 블루 컬러를 갖고 싶었다.
김강민 명장도 일상에서 영감을 얻는다. 고민 속에서 살기 때문에 특별한 무언가를 보지 않아도 보고 경험하는 것이 디자인 소재가 된다. 소비자들이 제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유심히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해외에 나가면 어느 나라를 가든 전자담배를 어떤 식으로 주머니에 넣는지까지 유심히 관찰한다. 동종업계보다는 이종업계를 많이 들여다본다. 휴대폰이나 모바일 디바이스도 참고한다."
최적의 그립감, 셔터 터치감, 각도를 구현하기 위해 전 세계에서 샘플을 구하고 실험했다.
"셔터를 돌리는 각도에 가장 신경을 썼다. 사람마다 손가락 길이가 다르고 돌리는 각도도 천차만별이었다. 숱한 실험 끝에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강하게든 약하게든 쉽게 돌릴 수 있는 각도를 찾아냈다."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사이즈를 만들기 위해 엔지니어들과 논쟁하고 디테일을 맞춰갔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