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3년을 쉰 hy팩토리+가 문을 열었다. 평택공장에서 야쿠르트가 생산되는 과정을 누구나 볼 수 있게 만들었다. 야쿠르트의 역사와 제조 공정을 볼 수 있는 공간, 아이들을 위한 학습공간, 유산균으로 세균을 박멸하는 VR게임공간이 마련돼 있다. 올해만 10만이 넘는 사람이 찾은 이유가 궁금했다. 한 병의 야쿠르트가 탄생하는 20일의 여정을 따라가봤다.

이물질 제거하는 이온세척공정

이온세척기는 용기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다. 이온을 발생시켜 불필요한 이물질과 정전기를 제거한다.

공정은 복잡하지 않다. 투입한 용기를 거꾸로 세운 뒤 자유낙하로 이물질을 1차 제거한다. 이온화된 에어를 주입해 용기 내부의 정전기를 없애고 진공흡입으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이물질 제거를 마친 후 비전시스템으로 용기를 검사한다. 불량한 용기나 유통기한이 잘못 표기된 용기를 선별하는 과정이다.

공정비전시스템은 고속카메라로 용기 내부를 촬영해 성형이 잘못되거나 파손된 용기, 이물질이 섞인 용기를 찾아낸다. 날인비전시스템은 제트프린터를 사용해 유통기한 표기 후 표기 불량 제품을 선별한다. 잘못 표기된 불량용기는 플라스틱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회사로 보낸다.

용량불량체커&유통기한 검사시스템은 완성제품을 검사하는 단계다. 용기에 제품액이 주입되면 용량불량체커기에 들어선다. 야쿠르트 용기를 투과해 정량이 투입됐는지 확인하고 용량이 부족한 제품을 선별하는 장치다.

포토센서는 수축필름으로 포장된 제품의 용량을 양방향으로 감지해 부족한 제품을 제거한다. 유통기한 검사시스템은 고속카메라를 이용해 용기에 인쇄된 날짜와 문자, 인쇄품질과 정확도를 검사해 불량품을 골라낸다.

형상인식기능을 이용해 이음새, 인쇄 번짐, 인쇄 오류, 글자 잘림, 글자 변형 등이 발생한 제품을 제거한다. 모든 과정을 거쳐야 무결점으로 출고할 수 있다.

포장은 로봇이 한다. 앞쪽 파란색  로봇은 '케이샤'다. 많은 양의 야쿠르트를 한번에 들어 3개의 붉은색 컨테이너박스에 넣어준다. 컨테이너박스는 이동하다 노란색 로봇 '겐트리' 앞에 도착하면 긴 팔로 야쿠르트 컨테이너박스를 차곡차곡 쌓아 정리해준다.

정리된 야쿠르트는 냉장창고로 들어간 후 전국 대리점으로 배송된다.  프레시매니저들이 냉장카트 코코에 싣고 신선한 야쿠르트를 고객에게 전달한다. <계속>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