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명 류지상 기자
  • Book
  • 입력 2025.04.25 12:19
  • 수정 2025.04.25 12:39

[산책] 지혜는 공감과 연민에서 나온다···《우리가 지혜라고 부르는 것의 비밀》

"친사회적 행동은 지혜의 본질과 맞닿아 있다"

지식을 쌓기는 쉽지만 지혜를 얻기는 어렵다. 지혜는 지식을 쌓고 경험하며 얻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요컨대 지혜는 일정한 세월이 필요하다.

노년기의 뇌 기능과 인지 기능을 한평생 연구해온 신경정신의학 석학인 저자가 지혜를 연구한 결과를 책으로 펴냈다.

책에 따르면 지혜는 친사회적 행동, 감정 조절, 결단력, 성찰, 영성 등 일곱 가지 요소로 이뤄진다. 이 가운데 연민·공감·이타주의에서 비롯한 친사회적 행동이 가장 필수적이다.

인류를 생존하게 한 기술, 언어, 사회제도 등이 "여러 사람의 상호작용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친사회적 행동은 지혜의 본질과 맞닿아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지혜는 전전두피질과 편도체를 중심으로 뇌의 다양한 곳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해 생겨나는데, 어느 정도는 타고난다고 설명한다. 저자가 추정하는 지혜의 선천성 비율은 35~55%다. 나머지는 "외부의 영향과 개인의 행동에 좌우된다"고 강조한다.

"이에 따라 지혜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예컨대, 연민이 부족하면 감사일기 쓰기, 소설 읽기, 명상 등을 통해 증진할 수 있다.

'힘들수록 성찰을 피하지 말자', '불확실성과 다양성을 수용하자', '결단을 내리자', '유머감각을 잃지 말자' 등 위기 에서 활용할 지혜의 전략도 담겨 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