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명 장채린 기자
  • CEO
  • 입력 2025.06.09 15:44

송영숙 한미약품 회장의 대망① 임성기의 시계는 멈췄고, 송영숙의 시계는 고장났다

송영숙 한미약품 회장과 故 임성기 창업회장
송영숙 한미약품 회장과 故 임성기 창업회장

2020년 대한민국 제약산업의 큰 인물이 생을 마감했다. 임성기. 이름 석 자는 한 회사를 넘어 한 시대의 제약정신을 상징한다. 

1940년 가난한 농가의 막내는 김포 통진고를 수석 졸업한 덕분에 중앙대 약대에 들어갈 수 있었다. 중외제약 영업사원으로 일하던 임성기는 자신의 길을 찾기로 결심하고 1966년 서울 휘경동에 '임성기약국'을 열었다.

"이 약국은 나의 전부다."

임성기는 약국에서 먹고 자며 조제에 몰두했다. 동대문으로 이전한 후 '성병전문약국'으로 입소문을 탔다. 전봇대마다 『임성기임질약』이 붙었고, 성병에 걸린 파월장병을 위한 생약·항생제 조제약은 날개가 돋쳤다.

약국에서 '제조'의 비전을 본 임성기는 1973년 '한미약품'을 설립했다. 항생제 'TS산'은 반응이 폭발적이었다.

소프트캡슐, 발포제, 츄정, 좌약 등 다양한 형태로 투약 편의성과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1976년 '써스펜해열좌약'은 어린이해열제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신약개발은 나의 생명!" 

열정은 KIST에서 운명적 인연을 만나게 했다. 김완주, 채영복 박사. 3세대 항생제 '세포탁심'과 '세프트리악손'을 국산화한 주역들이다. 두 항생제는 수출은 물론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로부터 600만 달러의 기술료를 받아내 한국 제약의 기술력을 각인시켰다. 임성기는 김완주 박사팀을 통째 영입했고 한미약품은 R&D제약사로 도약했다. 

1997년 마이크로에멀전기술을 다국적 제약사 노바티스에 수출하기까지 했다. 7,300만 달러짜리 계약으로 한국 제약사 기술 수출 사상 최대였다. 2004년 고혈압치료제 '아모디핀', 2009년 복합신약 출시로 한미약품은 'R&D명가'로 입지를 굳혔다. 

R&D를 향한 경영철학, 기술 국산화 의지, "신약 개발을 멈추지 않겠다"는 신념. 멈출 줄 몰랐던 임성기의 시계는 마지막 숨과 함께 멈추고 말았다. 그리고 아내 송영숙이 물려받은 시계는 작동되자마자 고장 나기 시작했다. 《계속》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