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선정위원회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련 보도를 한 다수 언론인을 수상자로 선정했다. 선정위는 5일(현지시간) 발표한 109회 퓰리처상 언론속보기사부문 수상자로 지난해 7월 13일 트럼프 피격사건을 보도한 〈워싱턴포스트〉(WP) 취재팀을 선정했다. 언론속보사진부문 수상자로는 같은 사건을 취재한 〈뉴욕타임스〉(NYT) 더그 밀스 기자를 선택했다. 트럼프 대통령 피격 사건을 다룬 콘텐츠가 양대 속보부문을 석권한 것이다.
선정위는 "WP는 전통적인 경찰기사와 시청각기법을 활용, 상세한 스토리텔링과 날카로운 분석을 통해 긴급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보도를 했다" 평가하고, "밀스 기자는 트럼프가 연설하는 동안 허공을 가르는 총알까지 포착해냈다"고 치하했다.
언론부문 15개 상 가운데 만화·삽화 부문도 트럼프 대통령과 연관된 인물이 수상자가 됐다.

WP 만평작가로 사주인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를 비롯한 빅테크 거물들이 트럼프에게 돈다발을 바치는 장면을 그린 풍자만평의 게재를 거부당하자 사직한 앤 텔네이스가 주인공이다. 선정위는 "텔네이스는 능숙하고 창의적으로 힘 있는 인물과 기관을 비판했고 17년간 재직한 조직을 떠날 정도의 용기를 갖췄다"고 격려했다.
국가보도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월스트리트저널〉(WSJ) 취재팀 역시 트럼프와 연관된 보도를 했다. 트럼프의 최측근으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정치적 성향이 변모한 과정과 약물 오남용 의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사적 대화 등을 추적했다.
공공서비스부문에서는 엄격한 낙태법이 적용되는 주에서 의사들의 늑장 대처로 사망한 산모들의 사례를 다룬 탐사보도 전문매체 〈프로퍼블리카〉가 뽑혔다. 〈프로퍼블리카〉는 지난해 미 연방대법관의 도덕성 문제를 파헤친 기사로 이 상을 받은 데 이어 2년 연속 수상했다.
미국 언론인 조지프 퓰리처의 이름을 따 1917년 탄생한 퓰리처상은 매년 언론·예술 분야에서 부문별 수상자를 선정한다. 공공서비스부문 수상자에게는 금메달이 수여되고 나머지 수상자들에게는 1만5,000달러를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