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명 류지상 기자
  • Global
  • 입력 2025.05.04 14:31
  • 수정 2025.05.04 14:34

은퇴하는 95세 워런 버핏···오마하의 현자, 가치투자 철학은 늙지 않는다

주 3회 맥도날드 치킨너겟, 하루 코카콜라 5캔
1958년 3만 달러에 구입한 주택에 살아
"내 재산 99% 자선사업에 기부하겠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95세에 은퇴하는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의 생애 첫 주식투자는 11세 때였다. 2차대전 중인 1942년 정유회사 시티스서비스의 주식이 반토막 나자 아버지에게 부탁해 3주를 매입했다. 주당 38.25달러에 산 주식이 4개월 후 40달러로 오르자 버핏은 주식을 매각해 5.25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

버핏은 하원에서 4선의원을 한 아버지 밑에서 자랐지만 투자하는 과정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7세 때 공립도서관에서 빌린 《1,000달러를 모으는 1,000가지 방법》을 읽은 뒤 동네에서 코카콜라와 껌, 잡지를 방문판매 하면서 돈을 모았다. 할아버지가 운영하는 잡화점에서 일을 했고 신문도 배달했다. 14세 때 첫 부동산투자를 했을 때 사용한 1,200달러도 스스로 모은 자금이었다.

버핏은 고등학교 졸업 후 사업에 뛰어들려 했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펜실베이니아대에 입학한 뒤 고향인 네브래스카대로 옮겨 경영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50년대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재학 당시 은사이자 '가치투자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회사에서 애널리스트로 일하다가 독립했다.

버핏은 기업의 내재가치에 기반해 주식을 선택하고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가치투자 전략으로 자산을 불려 나갔다. 40대 초반 백만장자가 된 버핏은 직물회사였던 버크셔해서웨이의 지분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기업의 가치를 계산하면 주당 19달러는 돼야 하지만 실제 주가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였다.

버핏은 버크셔해서웨이를 인수했고, 에너지와 은행, 항공, 식품 등 실물 경제와 관련한 기업에 집중 투자하면서 억만장자가 됐다. 1,682억 달러(약 235조9,000억 원)의 자산을 지닌 버핏은 지금도〈포브스〉 선정 주식부자 5위다.

버핏은 다른 갑부들과 달리 소박함을 추구했다. 고가의 미술품을 수집하거나 화려한 저택을 소유하지도 않았다. 1958년 3만1,500달러에 구입한 오마하의 조용한 주택에 거주하고 있다.

식습관도 평범한 중산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주 3회 이상 맥도날드 치킨너겟을 먹고 감자칩을 간식으로 즐긴다. 하루 평균 5캔의 코카콜라를 마신다. 버핏은 2013년 〈CBS〉 인터뷰에서 "화려한 옷도, 비싼 음식도 필요하지 않다"고 언급했다.

'억만장자들이 세금을 더 많이 내야 한다'는 것이 버핏의 지론이다. 자기 재산 99%를 자선사업에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힌 버핏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함께 다른 억만장자들을 상대로도 기부운동을 벌이고 있다.

두 번 결혼한 버핏은 세 자녀를 뒀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